UI 정보구조 설계하기 OS 플랫폼 특성 파악 OS 플랫폼에 따른 UX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보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모바일 UX의 특성 이해 정보구조 설계 과정에 있어서 실제 개발할 UI의 구조도를 작성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I/UX에 대한 특성 이해와 모바일의 UI/UX 디자인 원칙, OS 플랫폼 별 모바일 앱의 UI/UX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X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니즈를 발견하여, 그것을 UI 디자인에 담아내는 디자인 과정이 요구된다. 모바일에서 사용자 경험이 유독 강조되는 이유는 첫째, 작은 화면에서 서비스를 이..
문화콘텐츠 분석하기 문화콘텐츠 관련 자료 조사 및 분류 문화콘텐츠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목적에 맞게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의 이해 문화(culture) + 콘텐츠(contents) =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 '문화콘텐츠'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들이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두루 가리키는 표현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소설,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등이 있다. 문화콘텐츠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즈음부터 문화 산업 전문가들 사이에서 조금씩 쓰이다가 2001년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하 기관으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만들어지면서 본격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문화콘텐츠를 사전적인 의미로 ..
UI 정보구조 설계하기 정보설계 구성 앱 UI/UX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정보설계를 구성할 수 있다. 정보설계 정보설계의 목적은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콘텐츠와 기능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UI 구조와 내비게이션(navigation), 레이블링(labeling) 체계를 정립하는 과정이다. 1976년 정보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IA)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언급한 리처드 사울 워먼은 정보설계를 "데이터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는 것" 이라고 정의하였다. 정보설계의 정의 정보설계가인 루이스 로젠펠드와 피터 모빌은 정보설계의 핵심을 ..
UX 전략 도출하기 앱 UX/UI 디자인 방향성 및 콘셉트 도출 수립된 UX 전략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앱 UX/UI 디자인 방향성 및 콘셉트를 도출할 수 있다. UX 디자인 목표 수립 UX 디자인 전략이란,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원칙과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본 학습에서는 문화콘텐츠앱 디자인의 세부 전략을 바탕으로 UX 디자인 목표를 수립한다. 다음 예시와 같이, 명확한 목표 수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UX 디자인 콘셉트를 정의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앱 UX 디자인 원칙 사용자 경험을 이루는 앱 디자인의 핵심 분야로서 인터랙션 디자인, 정보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의 세 가지 디자인 분야의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여 본다...
UX 전략 도출하기 UX 차별화 전략 수립 결정된 포지셔닝에 따라 경쟁 환경·기술적 측면·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UX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UX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조건 앞서 선정한 UX 전략 포지셔닝 방향에 따라 전략을 수립할 시 고려해야 할 조건들을 분석하여 실현 가능하며 차별화된 UX 전략을 수립한다.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UX 전략의 고려와 기술적 측면, 사용자 측면에서의 고려를 통하여 UX 디자인 전략의 명확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경영 전략 및 경쟁 환경에서 UX 전략 경영 관점에서의 UX 전략 전략 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제이 바니(Jay B. Barney)와 윌리엄 헤스털리(WilliamS. Hesterly)는 경영(business)이란 선택과 실행의 연속..
UX 전략 도출하기 UX 전략의 포지셔닝 방향 선정 사용자 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방향성을 바탕으로 UX 전략의 포지셔닝을 결정할 수 있다. 퍼소나 요구사항 정리 앞서 학습해본 바와 같이, 퍼소나에 따른 정황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략적인 디자인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의 대표 사용자 퍼소나의 요구사항 구분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정리될 수 있다. 목표 대상에 따른 구분 시스템 요구사항 사용자 요구사항 요구사항의 특성에 따른 구분 기능적 요구사항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는 목적에 따른 기능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게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지 사용자를 통하여 확인해볼 수 있다. 현재 서비스 중인 앱의 경우에는 사용자들로부터 추가로 제공되었으면 하는..